최근 접속자
님 안녕하세요
제271회 이달의 보도사진상 접수 안내
접수기간 08/01 ~ 08/07

스토리 장련성

장련성(조선영상비전) 다운( 2건/ 2개)
프린트 이메일 등록일 2024-12-02 17:02:47 조회 : 254
스토리 장련성
“남녀공학 결사 반대!”
국토교통부 서울지방항공청의 승인을 받아 동덕여대 상공에 드론을 띄우자, 교내 곳곳이 “남녀공학 결사반대” 문구로 새겨진 모습이다. 교내 아스팔트 도로는 물론 학교 건물의 벽과 바닥 등 시설물이 공학 전환 반대 피켓과 함께 스프레이 칠로 가득했다.

동덕여자대학교 측이 매주 여는 교무회의에서 학교 발전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남녀공학 전환’ 의견을 낸 사실이 알려지자 이에 반대하는 대자보가 걸리기 시작했다. 총학생회 등이 학교 본관을 점거하고, 교내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취업박람회 집기를 파손하거나 조용각 전 동덕학원 이사장 흉상에 오물을 투척하는 등 시위를 벌이기 시작했다.

지난 12일 총학생회와 각 단과대 학생회 등 200여 명이 넘는 학생들은 “남녀공학 결사반대”를 외치며 시위를 열었다. 본관 앞 도로에는 공학 전환에 반발하는 의미를 담아 대학 이름이 새겨진 학생들의 학교 점퍼 수백 벌이 놓여 있었다.

공학 전환에 반대하는 학생들은 학교 측이 일방적으로 전환 논의를 추진했다고 반발하고 있다. 지난 13일 동덕여대 총학생회 ‘나란’은 SNS를 통해 “대학 발전을 함께 논의해야 할 학내 회의체에서 우리 학생뿐만 아닌 학생 대표까지 배제하고 있다”면서 학교 측의 ‘공학 전환 논의 철회’ 요구와 함께 사과를 요구했다.

학교 측은 확정된 사안이 아니고 의견 수렴 절차를 계획 중이었다고 해명한 바 있다.

동덕여대 대학 본부는 지난 15일 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학내 사태로 인한 피해 금액 현황을 언론 요청에 의해 알려 드린다”며 피해 금액 현황은 24억4434만원에서 최대 54억4434만원으로 추정된다고 공지한 바 있다. 이는 건물 곳곳에 칠해진 낙서와 파손된 기물 등을 청소, 복구하는 비용을 포함한 비용으로 알려졌다. 2024.11.19 조선영상비전 장련성
스토리 장련성(1).jpg
- FileName :
스토리_조선영상비전_장련성 (2).jpg
- FileSize :
29225511 bytes
- mimeType :
image/jpeg
- imageDescription :
“남녀공학 결사 반대!”
국토교통부 서울지방항공청의 승인을 받아 동덕여대 상공에 드론을 띄우자, 교내 곳곳이 “남녀공학 결사반대” 문구로 새겨진 모습이다. 교내 아스팔트 도로는 물론 학교 건물의 벽과 바닥 등 시설물이 공학 전환 반대 피켓과 함께 스프레이 칠로 가득했다.

동덕여자대학교 측이 매주 여는 교무회의에서 학교 발전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남녀공학 전환’ 의견을 낸 사실이 알려지자 이에 반대하는 대자보가 걸리기 시작했다. 총학생회 등이 학교 본관을 점거하고, 교내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취업박람회 집기를 파손하거나 조용각 전 동덕학원 이사장 흉상에 오물을 투척하는 등 시위를 벌이기 시작했다.

지난 12일 총학생회와 각 단과대 학생회 등 200여 명이 넘는 학생들은 “남녀공학 결사반대”를 외치며 시위를 열었다. 본관 앞 도로에는 공학 전환에 반발하는 의미를 담아 대학 이름이 새겨진 학생들의 학교 점퍼 수백 벌이 놓여 있었다.

공학 전환에 반대하는 학생들은 학교 측이 일방적으로 전환 논의를 추진했다고 반발하고 있다. 지난 13일 동덕여대 총학생회 ‘나란’은 SNS를 통해 “대학 발전을 함께 논의해야 할 학내 회의체에서 우리 학생뿐만 아닌 학생 대표까지 배제하고 있다”면서 학교 측의 ‘공학 전환 논의 철회’ 요구와 함께 사과를 요구했다.

학교 측은 확정된 사안이 아니고 의견 수렴 절차를 계획 중이었다고 해명한 바 있다.

동덕여대 대학 본부는 지난 15일 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학내 사태로 인한 피해 금액 현황을 언론 요청에 의해 알려 드린다”며 피해 금액 현황은 24억4434만원에서 최대 54억4434만원으로 추정된다고 공지한 바 있다. 이는 건물 곳곳에 칠해진 낙서와 파손된 기물 등을 청소, 복구하는 비용을 포함한 비용으로 알려졌다. 2024.11.19 조선영상비전 장련성
- Make :
Hasselblad
- Model :
L1D-20c
- XResolution :
3000000/10000
- YResolution :
3000000/10000
- DateTime :
2024:12:02 16:41:57
- ExposureTime :
1/400
- FNumber :
63/10
- ISOSpeedRatings :
100
“지금처럼 바람이 잔잔했으면 좋겠어요”

식목일을 맞은 4월 5일 오후 강원도 고성군 삼불감시초소에서 근무하는 한 산불감시원이 기자에게 걱정스러운 말을 남겼다. 강원 고성과 속초 일대 곳곳에 설치된 초소에서 산불감시원들이 혹시 모를 화재에 대비하기 위해 근무를 서고 있었다.

속초시 노학동 19번 초소에서 만난 감시원은 자신의 반려견과 함께 보초를 서고 있었다. “아직 바람이 강하게 불고 있지 않지만, 절대 방심하면 안 된다”면서 “제발 올해는 지금처럼 잔잔한 바람과 함께 산불 없이 봄이 지나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매년 봄철이면 강원도는 양양과 강릉 사이에서 부는 소형 태풍급 바람인 양간지풍(양강지풍)과 고온 건조한 날씨 탓에 산불 위험성이 높다. 특히 선거가 치러지는 짝수 해에 유난히 큰 산불이 자주 발생하면서 강원도에서는 ‘짝수 해 산불 징크스’가 생겨날 정도다.

15대 총선이 치러진 지난 1996년 고성 죽왕리에서 큰 산불이 났고, 2만여 헥타르(㏊)가 잿더미로 변한 산불은 2000년 4월 16대 총선이 열린 해에 발생했다.
하지만 강원도는 짝수 해가 아니더라도 매년 봄철 산불에 대한 걱정이 크다. 지난 2019년 4월 4일 고성군 토성면에서 발생한 산불이 속초 시내 방향과 강릉으로 크게 번져 축구장 보통 면적(0.714㏊/1개 추구장) 1,700개에 달하는 1260헥타르(ha)의 국토가 잿더미로 변했다. 화재 당일 강원도에서 순간 최대 풍속이 35.6m/s에 달할 정도로 강한 바람이 불었다.

산불로 주민 2명이 사망하고, 11명이 부상, 총 1,309억 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당시 문재인 대통령은 이낙연 국무총리의 건의를 받아 국가 재난 사태를 선포하기도 했다.
2019년 고성 산불 발생 당시 피해가 컸던 토성면 일대를 찾아가 봤다. 산불 피해 이후 민둥산에 심어진 푸릇한 묘목이 아이 키만큼 자라고 있었다. 전소된 주택을 허물고 새로운 보금자리를 마련한 주민들도 많았다. 하지만, 당시 산불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었다. 성천리의 한 야산에 오르자 임도 양옆으로 불에 타 죽은 나무들이 갈라지거나, 힘없이 쓰러져 있었다.

토성면의 또 다른 야산에는 나무를 새로 심기 위해 베어낸 불에 탄 흑색 나무들이 곳곳에 쌓여 있었다. 그 옆으로 죽은 나무가 앙상하게 방치되어 있었다. 군데군데 진달래가 피어났지만, 일대 산림이 대부분 흑색 빛깔을 띠고 있었다. 강원도 산불 상흔은 5년이 지났지만, 지워지지 않고 여전히 남아 있었다.
스토리 장련성(2).jpg
- FileName :
스토리_조선영상비전_장련성 (1).jpg
- FileSize :
14162533 bytes
- mimeType :
image/jpeg
- imageDescription :
“지금처럼 바람이 잔잔했으면 좋겠어요”

식목일을 맞은 4월 5일 오후 강원도 고성군 삼불감시초소에서 근무하는 한 산불감시원이 기자에게 걱정스러운 말을 남겼다. 강원 고성과 속초 일대 곳곳에 설치된 초소에서 산불감시원들이 혹시 모를 화재에 대비하기 위해 근무를 서고 있었다.

속초시 노학동 19번 초소에서 만난 감시원은 자신의 반려견과 함께 보초를 서고 있었다. “아직 바람이 강하게 불고 있지 않지만, 절대 방심하면 안 된다”면서 “제발 올해는 지금처럼 잔잔한 바람과 함께 산불 없이 봄이 지나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매년 봄철이면 강원도는 양양과 강릉 사이에서 부는 소형 태풍급 바람인 양간지풍(양강지풍)과 고온 건조한 날씨 탓에 산불 위험성이 높다. 특히 선거가 치러지는 짝수 해에 유난히 큰 산불이 자주 발생하면서 강원도에서는 ‘짝수 해 산불 징크스’가 생겨날 정도다.

15대 총선이 치러진 지난 1996년 고성 죽왕리에서 큰 산불이 났고, 2만여 헥타르(㏊)가 잿더미로 변한 산불은 2000년 4월 16대 총선이 열린 해에 발생했다.
하지만 강원도는 짝수 해가 아니더라도 매년 봄철 산불에 대한 걱정이 크다. 지난 2019년 4월 4일 고성군 토성면에서 발생한 산불이 속초 시내 방향과 강릉으로 크게 번져 축구장 보통 면적(0.714㏊/1개 추구장) 1,700개에 달하는 1260헥타르(ha)의 국토가 잿더미로 변했다. 화재 당일 강원도에서 순간 최대 풍속이 35.6m/s에 달할 정도로 강한 바람이 불었다.

산불로 주민 2명이 사망하고, 11명이 부상, 총 1,309억 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당시 문재인 대통령은 이낙연 국무총리의 건의를 받아 국가 재난 사태를 선포하기도 했다.
2019년 고성 산불 발생 당시 피해가 컸던 토성면 일대를 찾아가 봤다. 산불 피해 이후 민둥산에 심어진 푸릇한 묘목이 아이 키만큼 자라고 있었다. 전소된 주택을 허물고 새로운 보금자리를 마련한 주민들도 많았다. 하지만, 당시 산불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었다. 성천리의 한 야산에 오르자 임도 양옆으로 불에 타 죽은 나무들이 갈라지거나, 힘없이 쓰러져 있었다.

토성면의 또 다른 야산에는 나무를 새로 심기 위해 베어낸 불에 탄 흑색 나무들이 곳곳에 쌓여 있었다. 그 옆으로 죽은 나무가 앙상하게 방치되어 있었다. 군데군데 진달래가 피어났지만, 일대 산림이 대부분 흑색 빛깔을 띠고 있었다. 강원도 산불 상흔은 5년이 지났지만, 지워지지 않고 여전히 남아 있었다.
- Make :
Hasselblad
- Model :
L1D-20c
- XResolution :
720000/10000
- YResolution :
720000/10000
- DateTime :
2024:12:02 16:55:03
- ExposureTime :
1/640
- FNumber :
630/100
- ISOSpeedRatings :
100
번호 제목 이름 조회수 다운로드 등록일
1164
4월 뉴스 박상훈 박상훈(조선영상비전) 256 2 2024-12-03
1163
5월 뉴스 박상훈 박상훈(조선영상비전) 262 3 2024-12-03
1161
6월 뉴스 박상훈 박상훈(조선영상비전) 220 1 2024-12-03
1160
7월 뉴스 박상훈 박상훈(조선영상비전) 142 1 2024-12-03
1159
9월 뉴스 박상훈 박상훈(조선영상비전) 134 1 2024-12-03
1158
11월 뉴스 박상훈 박상훈(조선영상비전) 134 2 2024-12-03
1157
특집 의정갈등 박상훈 박상훈(조선영상비전) 269 0 2024-12-03
1156
특집 저출생 박상훈 박상훈(조선영상비전) 249 1 2024-12-03
1155
피처 자연 박상훈 박상훈(조선영상비전) 256 3 2024-12-03
1154
지역뉴스 영남 장윤석 장윤석(더팩트) 209 3 2024-12-03
1153
피쳐 자연 장윤석 장윤석(더팩트) 259 1 2024-12-03
1152
피쳐 생활 장윤석 장윤석(더팩트) 309 10 2024-12-03
1151
피쳐 문화예술 장윤석 장윤석(더팩트) 154 13 2024-12-03
1150
특집 의정갈등 장윤석 장윤석(더팩트) 282 1 2024-12-03
1149
스포츠 종합 장윤석 장윤석(더팩트) 129 0 2024-12-03